뉴스레터
  • 최종발행일: 2021.03
  • 발행처: 대한진단면역학회
  • 발행인: 조윤정
  • 편집인: 황동희, 신경화, 유수진

뉴스레터

Korean Society of
Diagnostic Immunology

최신논문소개

대한진단면역학회 공식 학술지인 Laboratory Medicine Online에
2020년 하반기 게재된 진단면역 논문을 소개합니다.

1

한국인 인구집단에서 항-A형 간염 바이러스 (HAV) IgG 항체의
최근 혈청유병률: 대규모 인구 기반 연구

  • 최리화1,2·박미정1·이상곤1·이은희3
  • 1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부
    2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3GC녹십자의료재단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의 연구 기간 동안 한국 전역 1,233개의 병원 및 지역 의원에서 240,480명(남성 124,353명과 여성 116,487명)으로부터 항-HAV IgG 검사 결과를 얻었다. 연령의 중앙값(범위)은 38.0 (18.0-97.2)였다. 항-HAV IgG 항체의 연간 혈청유병률은 2015년 53.3%, 2016년 53.0%, 2017년 53.1%였다. 연령의 중앙값은 지역에 따라 달랐고, 항-HAV IgG 항체의 혈청유병률은 연령대와 지역에 따라 달랐다(P<0.0001). 항-HAV IgG 양성률은 20대 연령 군에서 10 대 연령 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오즈비 0.74, 95% 신뢰구간 0.69-0.78, P<0.0001), 다른 연령 군은 10대 연령 군보다 높았다. 다변수-보정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항-HAV IgG 양성률은 여성에서 남성보다 높았고, 서울 거주자에 비해 인천, 세종시, 강원도, 광주, 전라북도 지역에 사는 거주자에서 더 높았다(오즈비 >1.0, P<0.05).

2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Immunoblot Assay에서 Cross-reactive Carbohydrate Determinant 특이 항체에 의한 위양성 반응 방지: 증례 보고

  • 송다영1,2·이준희1,2·김성민3·전선희3·이경훈1,3·송상훈1,2·송정한1,3
  • 1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검사의학교실
    2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3분당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교차 반응 탄수화물 결정 물질(cross-reactive carbohydrate determinant, CCD)은 아미노산 단백질 사슬에 부착된 단순 탄수화물이며, 식물, 곤충류, 벌목 독 등에서 발견된다. CCD 항원은 생체 내 생성된 항-CCD 항체와 광범위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50대 남성이 immunoblot 방법을 이용한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를 시행했다. PROTIA Allergy-Q 64 inhalant panel (ProteomeTech, Korea)에서 포유류와 관련된 알레르기항원을 제외한 59개 중 37개의 항원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항-CCD 항체로 인한 교차 반응을 의심하였다. ProGlycAn CCD-blocker (ProGlycAn, Austria) 처리 후에는 CCD 항원과의 반응이 없었고 양성 반응을 보이는 알레르기항원의 수는 15개로 감소했다. 검체를 희석 처리만을 했을 때 교차 반응이 여전히 나타났다. 총 7명의 항-CCD 항체로 인한 교차 반응이 의심되는 환자를 추가로 CCD-blocker 처리를 시행했다. 이들 8명의 검체는 평균적으로 33개(범위 24-36개)의 알레르기항원이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CCD-blocker 처리 후 양성 결과를 나타내는 알레르기항원 수는 평균 8개(범위 0-19개)로 감소했다. 항-CCD 항체로 인한 교차 반응이 의심되는 검체에서 CCD-blocker를 처리하는 것은 위양성 반응을 감소시켜 알레르기 원인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

만성점막피부칸디다증의 진단 및 관리에 인산화된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1
유세포 측정의 유용성: 증례 보고

  • 윤선주1·권원경1·정미정2·연정하2·허희재1·이남용1·김예진3·강은숙1
  • 1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
    2삼성생명과학연구소
    3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 상염색체 우성 만성점막피부칸디다증(autosomal dominant chronic mucocutaneous candidiasis, AD-CMC)는 만성점막피부칸디다증의 아형 중 하나로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1 (STAT1) 단백의 기능획득(gain-of-function, GOF) 돌연변이로 인해 나타난다. STAT1단백의 GOF 변이는 Th17 세포의 분화과정에 문제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피부, 점막 등이 캔디다 감염에 취약하게 된다. STAT1단백의 GOF 변이의 확인이AD-CMC 진단에 필수적이지만 감염 합병증을 줄이고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유전자 검사보다 빠르고 간편한 검사법이 필요하다.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자극 후 세포내 인산화 STAT1 단백(pSTAT1)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AD-CMC로 진단된 24세 여자환자에서 유세포 분석을 통하여 STAT 신호전달 활성화 상태를 보여주었다. 대조군에 비하여 환자의T 림프구에서 감마인터페론으로 자극 후 pSTAT1은 증가되고 저해제를 처리한 후에는 덜 감소하였다. 본 보고는 한국에서 STAT1 GOF 돌연변이를 진단하고 감시하는데 유세포 분석을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첫 증례이다.

4

HLA Class II 항체 검출 시
C3d 검사법과 SAB 검사법의 상관관계 평가

  • 강혜인·김도훈·하정숙·류남희·전동석·이원목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HLA 항체 검사를 위해 검사실로 의뢰된 검체 중 class II SAB 검사(Immucor Transplant Diagnostics, USA)에서 양성인 혈액 검체 중 최종적으로 DSA 양성인 66개의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검체를 SAB 검사법과 C3d 검사법(Immucor Transplant Diagnostics)으로 검사를 시행한 후 HLA 항체 종류, MFI 값, 양성여부를 파악한 후 두 검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SAB 검사의 항체수는 11-20개인 구간에서 24개(36.4%)로 가장 많았고, C3d 검사는 항체수가 2-5개인 구간에서 23개(34.8%)로 가장 많았다. SAB 검사에서 양성인 항체 중에서 MFI≤3,000인 항체 440개 중 28개(6.4%)만이 C3d 검사 양성이었고, MFI≥3,001인 항체 556개 중 341개(61.3%)가 C3d 검사 양성이었다. 반면, C3d 검사에서 양성인 442개의 항체 중에서는 MFI≤500, 1,001≤MFI≤10,000인 구간에서 각각 32개(7.2%), 41개(9.3%)를 제외하고는 모두 SAB 검사도 양성이었다. C3d 검사 양성 검체가 C3d 검사 음성 검체보다 SAB의 최대 MFI 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HLA class II 항체의 SAB 검사에서의 MFI 값은 C3d 검사 음성인 경우보다 양성인 경우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Phadiatop Assay와 AdvanSureTM AlloScreen의
임상적 유용성 비교

  • 김민경·권민정·박효순·우희연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Phadiatop test 및 Phadiatop Infant test (Phadia AB, Sweden)는 특정 IgE검사의 변형 검사로 높은 빈도로 검출되는 알레르겐들의 혼합물에 대한 검사이다. 본 연구에서 MAST인 AlloScreen (LG Life Science, Korea)과 비교하여 Phadiatop assay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AlloScreen 검사 결과에 따라 분류된 총 218개의 검체를 수집하였다. 흡입알레르겐에 대해 양성을 보이는 61개 검체와 103개의 음성 검체에 대해 Phadiatop test를 시행하였다. 음식 및 흡입알레르겐에 대해 양성을 보이는 54개 검체와 103개의 음성 검체 대하여 Phadiatop Infant test 검사를 시행하였다. Phadiatop과 AlloScreen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ImmunoCAP (Phadia AB, Sweden)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AlloScreen과 Phadiatop test 간의 일치율은 93.2% (κ=0.86, P<0.001)이었다. 164개 검체 중 11개(6.7%)가 불일치 결과를 보였다. AlloScreen의 결과가 ImmunoCAP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AlloScreen과 Phadiatop Infant test 간의 일치율은 97.4% (κ=0.945, P<0.001)이었다. 4개(2.5%)의 검체는 AlloScreen 음성, Phadiatop Infant test 양성이었다. ImmunoCAP 검사에서 3개 검체는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1개 검체는 확인되지 않았다.